Leadership
비보직 고경력자의 새로운 역할과 조직에서의 활용방안
QA_Oz
2024. 12. 6. 21:15
비보직 고경력자의 새로운 역할과 조직에서의 활용방안
조직 내 비보직 고경력자가 증가하고 있는 현상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들은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역할 축소로 인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오늘은 이러한 비보직 고경력자들의 특징과 새로운 역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보직 고경력자 증가의 배경
우리나라는 2025년에 초고령화 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50대가 전체 인구의 16.6%를 차지하고 있으며, 10년 후에는 50대 이상 인구가 전체의 절반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와 함께 조직에서는:
- 밀레니얼 세대의 리더 진입
- 조직 구조 개편과 슬림화
- 수평적 조직문화 확산
등으로 인해 비보직 고경력자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비보직 고경력자의 특징
긍정적 측면
- 풍부한 업무 경험과 전문성 보유
- 조직의 역사와 함께한 깊이 있는 지식
-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 보유
부정적 측면
- 심리적 위축과 자신감 상실
- 소극적인 업무 태도
- 젊은 리더와의 세대 갈등
비보직 고경력자의 새로운 역할
1. 지식과 경험의 연결자(Linker)
- 리더에게는 모범형 팔로워(Effective follower)
- 후배들에게는 서번트 리더(Servant leader)
- 조직 내 형식지와 암묵지의 공유자
2. 전문성 활용방안
- 멘토링과 코칭 프로그램 운영
- 지식 공유 세션 진행
- 외부 네트워크 관리 및 활용
조직의 지원 방안
직무 자율성 보장
-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혁신 행동 촉진
지식 공유의 장 마련
- 형식지: 문서화된 지식 공유
- 암묵지: 멘토링, 코칭 활동
새로운 역할 모델 정립
- 조직 내 위치와 역할 재정의
- 성과 평가 기준 마련
마치며
비보직 고경력자는 조직의 소중한 자산입니다. 이들의 경험과 지식이 사장되지 않고 개인과 조직 모두에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적절한 지원과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